혐오문화와 정()의 문화

 

 

우리 사회에 만연한 혐오의 문화

한 디지털 뉴스에서 이런 정보를 접했다. 영어단어에 empathy 라는 단어가 있다. 사전적의미로는 감정이입, 공감이라는 말인데 정확히 말하면 에 가깝다고 한다. 저사람 인정이 참 많다 라고 할 때 인정에 해당하는 말이 바로 이 Empathy라는 말이다. 미국 미시간대학 연구팀이 'empathy'를 기준으로 국가별 순위를 따져봤다는데 한국은 6위로 나왔다. 

우리나라가 6위에라도 들어간 것을 좋아해야할지 비판적 시각으로 받아들여야 할지 문제제기를 하고 싶다. 우리나라는 예부터 정()의 문화였다. 그러나 우리사회가 얼마나 삭막해졌는지 모두 피부로 느끼고 있다. 요즘에는 각종 혐오문화로 인해서 사람들의 말투부터가 달라지지 시작했다. 얼마 전에 인터넷에 얼굴이 혹으로 일그러진 사람의 사진이 올랐는데 거기에 댓글이 이런 것이 달려 놀란 적이 있다. 극혐이다 극혐. 구역질난다. 이런 말들이 서스럼 없이 달려 있었다.

극혐 이란 말은 극 혐오하다란 말의 줄임말이다. 이런 말 외에 여성혐오의 준말 여혐, 남성혐오의 준말 남혐이라는 말이 있다. 이런 맥락에서 혐오를 나타내는 말이 많은데 벌레를 뜻하는 접미사 충자를 써서 예를 들어 급식을 먹는 학생을 비하하는 급식충, 유난스럽게 아기를 키우는 젊은 엄마를 비하하는 맘충, 틀딱충이라는 말도 있다.  틀니 소리를 빗대어 노인을 비하하는 말이다. 이유도 없이 싫다. 그게 이유다. 이런 혐오현상으로 길거리 묻지마 살인도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왜 이렇게 까지 되었을까. 우리나라는 예부터 유교사상을 받아들여 효를 강조하고 정을 강조했다. 맹자의 측은지심을 보아도 알 수 있다.

맹자가 말하기를 "사람들 누구에게나 남의 불행을 차마 그대로 못 보는 마음이 있다고 했다. 그 까닭은 지금 갑자기 어린아이가 우물 안으로 떨어지려 하는 것을 사람들이 본다면 모두가 놀라고 두려워하며 측은히 여기는 마음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자연적으로 불쌍하게 여기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누구나 그 아이를 구하려고 하는 데, 그것이 어린아이의 부모와 사귈 수 있게 되기를 바라기 때문도 아니고, 마을 사람들이나 친구들로부터 칭찬을 받기를 바라기 때문도 아니며, 어린아이의 위험을 보고만 있었다는 자기에 대한 평판이 싫어서 그러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맹자는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없다면 사람이 아니다 라고 까지 말했다. 이렇게 본다면 인간은 본래 착하고 선하다는 것인데...

사회가 왜 이렇게 까지 되었을까. 내가 초등학교 때 만에도 이웃과의 따뜻한 정을 나눌 수 있었다. 나에게는 그 추억이 많다.  누가 이사 오면 항상 떡을 가져와서 나눠먹고 김장도 이웃끼리 함께 해서 나눠먹고 학교 갔다 와서 엄마가 없으면 남의 이웃집 가서 한참 놀고 오고 자다와도 아무렇지도 않았다. 그래서 어쩌다 이사 가면 그리워서 그 이사 간 집에 가서 며칠 있다오고 이런 식으로 정을 나누었는데 정말 이웃사촌이었다. 그런데 요즘은 이런 일 기대하기도 어렵고 서로 아파트 한 층에 살면서 인사도 안하고 소음난다고 서로 간에 죽이는 일도 벌어지는 현실이다.

 

 

()의 문화가 사라져 가는 이유

왜 이런 정의 문화가 사라져가는 걸까. 그것은 우리 안에 불쌍히 여기는 마음, 동정하는 마음 긍휼히 여기는 마음이 사라져 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사회구조가 양극화되고 갑을문화가 고착화되면서 더 그런 현상이 더 나타나는 것 같다. 그래서 요즘에는 동정도 함부로 해서도 안 된다.

한 철학자의 책에서 본 내용이다. 명문대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MBA 과정을 통과한 동창이 동창회에 와서 자신이 대기업에서 명예퇴직을 당했다고 말했다. 그런데 어떤 친구가 동정을 표했다. 그 친구는 진심에서 표현했는데, 그런데 그 친구는 지방대를 나오고 중소기업을 다니는 친구였다. 명문대를 나온 그 동창은 위로받기는커녕 모욕을 받았다고 생각했다. 지방대도 간신히 졸업했고 영어도 못해서 변변찮은 중소기업에나 다니고 있는 친구가 동정을 보일 정도로 자신이 망가졌다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버럭 화를 내며 동창회 자리를 박차고 나가며 "아무리 내가 실직자가 되어도 너희들의 위로나 받을 사람으로 보이니, 뭐 이런 거지같은 것들이 다 있어, 무능한 것들은 주제 파악도 못하지, 이제 아주 맞먹네." 이러고 나갔다는 실제 일화가 있다. 그러니까 아무나 동정했다가 욕을 보는 일도 당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 철학자는 사람들은 충분히 우리와 동질감을 느끼는 사람에게만 동정을 표현해야 한다. 선의의 동정이 잘못했다가는 이처럼 예상치 못한 반발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우리가 말하는 정()은, 불쌍히 여기는 마음, 긍휼히 여기는 마음에서 온다.  동정이라는 말은 조금 부정적 의미가 있다.  갑을관계에 있을 때 동정은 더 부정적 현상을 초래한다.  그러나 내가 다른 사람과 동일시 여겨졌을 때, 그때만 동정심을 느껴야 한다면 동정이 아닐 것이다.  갑을 관계를 따져서 동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동창회를 박차고 나간 사람, 그 사람이 더 불쌍한 사람, 동정을 받아야 할 사람이다.

세상을 들썩였던 탈옥수 신창원이 교도소에 다시 수감되어 있었을 때, 이해인 수녀와 계속 편지를 주고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그렇게 신창원이 잔인한 살인마가 된 데에는 이유가 있었다.

초등학교 때 공과금 못 낼 정도로 가난했는데 하루는 공과금을 못내었다고 선생님이 "새끼야 돈 안 가져왔는데 뭐 하러 와 빨리 꺼져"라고 망신을 주었다고 한다. 그때부터 신창원은 삐뚤어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선생님이 신창원의 가정형편을 알고 긍휼히 여겼다면 방법이 달랐을 텐데 어쨌든 간에 선생님의 혐오를 드러낸 말이 신창원을 악마로 만들었다.

 

 

이젠 정이 그립다

이젠 정이 그립다. 따뜻한 마음이 그립다. 사람들안에 불쌍히 여기는 마음, 긍휼히 여기는 마음이 넘쳤으면 좋겠다. 측은지심이 다시 살아났으면 좋겠다.

갑을 관계를 따지고 상하 구조 속에서 누가 누구를 동정하고가 아니라, 가진 자는 못가진자가 불쌍하고, 못가진자는 가진 자가 불쌍하고, 모두가 인간이기 때문에 우리는 서로 측은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면, 우리사회의 혐오문화가 좀 해결될 수 있지 않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