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벌, 교육상 필요한 것인가 또 하나의 폭력인가

 

 

체벌에 대해 생각해보며

이런 뉴스를 접했다. 친모와 외조모가 3살짜리 딸을 회초리로 체벌한다고 무자비하게 때려서 사망시켰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것은 체벌이라고도 하지 않는다. 폭행이고 학대라고 부르지, 체벌과 폭력의 기준은 무엇인가. 부모와 자녀, 그리고 스승과 제자사이에 일어나는 체벌을 다시 생각해 보았다.

우리나라에서 체벌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체벌을 하더라도 제한적이며 불가피한 경우에만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도 이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이전에 선생이 체벌로 한 학생을 그 반에서 왕따가 되게 한 일이 있었던 것이 보도가 되었다. 이것도 정신적인 폭력이다 라면서 말이 많았다. 제도적으로 우리나라는 체벌을 금지하고 있지만 실제로 체벌은 자행되고 있어서 체벌은 방법, 정도의 심함 등으로 판단하여 폭력으로 규정되기도 하고, 사회적으로 지탄받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체벌이 없어진 후 교권이 무너져 학생들을 지도하기 어렵다고 말하기도 한다. 반면 체벌금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체벌교사들이 여전히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체벌은 충분한 유대관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체벌은 가정에서는 부모와 자식, 학교에서는 스승과 제자의 유대관계가 즉, 신뢰관계가 형성이 된 상태에서 되어져야 한다. 사랑의 매는 있다고 본다. 그런데 매가 있기 전 전제조건이 사랑이라는 유대관계, 감정적 신뢰관계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때 체벌이 가해져도 자기의 잘못을 돌이킬 수 있고 폭력이라고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체벌 뒤에는 항상 돌봄이 따라야 한다. 가정에서는 부모님, 학교에서는 선생님의 엄격한 가르침이 없었으면 우리는 올바른 사회인으로 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체벌을 할 때 사랑의 유대관계가 있을 때만, 즉 체벌 후 돌봄이 따라줄 때만 비뚤어 나가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 않을 때는 모두 폭력으로 기억된다. 실제로 엄마와의 친밀감, 유대관계가 깊은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영유아들만 보아도 그렇다. 영유아들은 엄마에 대한 의존적 관계가 깊고 엄마가 체벌 뒤에도 안아주고 먹여주고 하는 돌봄이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건강하다. 초등학교 때도 선생님들과 친밀한 관계가 유지되기 때문에 원칙과 규칙을 어겼을 때 체벌이 가해져도 아이들이 빨리 돌이킨다. 그러나 중학교, 고등학교, 사회에 나오면서 점점 그런 유대관계가 약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잘못했다고 체벌을 당할 때 폭력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학교생활을 돌이켜보면,에게 깊은 관심을 가져준 선생님께 맞은 매는 나를 돌이키게 했고 기분 좋게 기억된다. 그러나 아무 이유 없이 때리는 선생님이 있었다. 그럴 때는 매우 두려움으로 기억되고 수치심을 느끼게 한 것으로 기억된다.

중학교 때도 고등학교 때도 미친개라는 선생님이 있었다. 선생님을 개라고 불러서는 안 되지만 그 선생님의 별명이 그랬다. 이 선생님한테 걸리면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맞는다. 실내화를 계단에서 신지 않았다고 맞고, 줄을 제대로 서지 않았다고 맞고, 줄을 제대로 섰는데 다른 데 쳐다봤다고 맞고, 그것도 회초리로 맞는 것이 아니라 신체부위를 손으로 무지막지하게 때리는 것이다.도 그 선생님한테 맞은 적이 있다. 그런데 그 기억이 아직도 수치감으로 기억된다.

 

체벌 한 사람의 마음도 아파야 진정한 체벌

중학교 때의 일이다. 우리 반이 단체로 국어선생님께 잘못한 적이 있다. 숙제를 안 해왔는지, 준비물을 안 챙겨왔는지 우리들의 잘못의 내용은 잘 기억이 나질 않는다. 그런데 우리의 잘못에 대해서 그 국어 선생님이(상담 선생님이시기도 하셨음)이 어떻게 하셨는지 아직도 내 가슴에 남을 정도로 작은 충격을 주었다. 그 선생님은 아이들의 잘못을 가르치기 위해서 당신의 손바닥으로 아이들의 손바닥을 치셨다. 그러면 때린 사람의 손바닥이나 맞은 사람의 손바닥이 모두 다 아프다. 한 대 맞았는데 정말 아팠다. 그렇게 아픈 걸..., 반 아이들 모두를... 선생님의 손바닥은 어땠을까.  중학교 당시 한 반에 60명 정도는 되었다. 선생님의 손바닥이 빨갛게 부어오른 것을 목격할 수밖에 없었다. 그 선생님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을 때리면 나도 아프다. 아이들은 모두 머리를 숙였다. 아무 말도 필요 없었다. 부어오른 손바닥이 말해주고 있었다. 우리를 때리신 선생님은 몇 배, 몇 십 배 더 아프시다는 걸.

그리고 그 선생님은 사고로 돌아가셨다. 학교에서 장례를 치렀는데 전교생이 눈물바다를 이루었고 그 선생님은 그렇게 하늘나라로 가셨다. 그 장례에서 흘린 학생들의 눈물이 그 선생님을 얼마나 사랑하고 존경하고 있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우리 모두 체벌 받은 경험도 있고 체벌한 경험도 있을 것이다. 아무리 법으로 금지해도 체벌은 일어나고 있다. 잘못 했으면 벌을 받아야 한다는 논리에서가 아니라, 체벌을 가한 사람은 내가 잘못을 고쳐야 한다는 의무감에서가 아니라, 원칙을 지켜야 하니까, 이런 논리에서가 아니라, 그리고 체벌 후 쾌감과 승리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넓은 사랑으로 잘못을 돌이키게 하기 위해서 체벌을 하는 것임을 인지해야 한다. 그래서 체벌을 한사람도 그만큼 아픔을 느낀다고 인지시켜야 한다. 그럴 때 사랑과 신뢰가 우리의 자녀들을 훌륭하고 성숙한 사람으로 성장시킬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