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리더십

 

 

리더는 마지막에 먹는다

세계적 베스트셀러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의 저자 TED 동영상의 최고 강사인 사이먼 사이넥의 <리더는 마지막에 먹는다>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리더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보여주고 있는데 우리는 리더라는 존재를 얘기할 때 엄마라는 존재, 돌봄의 가치를 이야기 하지 않았습니다. 좀 경시해온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그는 이제 새롭게 부상하는 리더십은 돌봄 리더십 이라는 것입니다. 조직의 성패가 경영의 수완이 아니라 뛰어난 리더십에 기초하는데 리더는 언제나 구성원들에게 집중해야 한다. 돌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이먼은 미 육군, 특히 해병대를 예로 드는데, 미 해병대는 식사시간에 최하급자가 가장 먼저, 최상급자가 가장 나중에 배식을 받는다고 합니다. 이것이 결코 명령에 의한 행동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 아주 간단한 행동 속에 리더십을 보는 해병대의 시각이 들어있습니다. 리더는 마지막에 먹습니다. 이것은 자신의 필요보다는 부하들의 필요를 보다 우선하는 마음가짐의 표현이며 부하직원을 진심으로 걱정하며 자신의 사리사욕은 희생하는 마음의 표현입니다.

저는 이것을 읽으면서 엄마를 떠올렸습니다. 보통 엄마들은 남편이나 자식이 다 먹고 난 후 먹습니다. 그래서 남은 음식, 찌꺼기를 먹습니다. 그 양이 모자라도 신경 쓰지 않고 많아도 신경 쓰지 않고 그것이 내 몫이려니 하면서 먹습니다. 그래서 이 세상의 엄마들은 뚱뚱합니다. 처녀 때 그렇게 예쁘고 날씬했던 사람들이 엄마만 되면 펑퍼짐해집니다. 운동으로 신경 쓰지 않은 이상 운동할 시간도 없죠. 어쨌든 다 뚱뚱합니다. 이것은 자신을 희생하는 돌봄 때문 입니다.

그런데 제가 중요한 것을 깨달았는데 엄마는 항상 맛있는 거 다 양보하면서 내가 너를 위해서 주는 거야, 나는 찌꺼기만 먹는 신세, 하면서 불평불만 신세한탄 한번 하신 적이 없어요. 그래서 저는 엄마는 원래 그러는 사람 원래 마지막에 먹고 맛있는 거는 다 양보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어요. 우리는 보통 그것을 당연하게 여깁니다.

그런데 아버지도 제일 먼저 식사를 하시면서 맛있는 것은 살짝 우리들에게 밀어주시기도 하고 애정을 표현하시지만 엄마랑 차이점은 아버지는 이렇게 하시고 생색을 내십니다. 그래서 제가 깨달은 것이 희생에서 나오는 돌봄은 여성에겐 본능과도 같은 것이다. 아버지로 대표되는 남자는 본능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모성에서 나오는 돌봄 리더십

그런데 이 모성에서 나오는 돌봄이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것입니다. 실제 <리더는 마지막에 먹는다>라는 책에 예화가 나오는데 회사를 돌봄의 환경으로 전환하여 죽어가는 회사의 매출액을 2배 이상 증가시킨 이야기가 나옵니다. 밥 채프먼 이라는 사람이 배리웨밀러 사의 CEO인데 재무상태가 부실하고 기업문화가 아주 형편없는 회사를 사들였습니다. 이 사람이 제일 먼저 한 것이 직원들과 함께 앉아서 그들의 이야기를 들은 것입니다. CEO는 사람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조직의 리더가 먼저 그들을 사람으로 대접해야 한다 라고 생각하고 먼저 신뢰를 얻기 위해 실천을 했습니다. 사람으로 대접해야 한다는 말이 뭐가 대단한 도덕적 가치이냐 할지 모르지만 조직에서 사람들은 매출액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의 가치밖에 안 여기는 리더도 많습니다. 이 사람의 사고방식은 리더는 부모의 역할을 해야 한다. 한 직원이 회사에 들어오는 것은 한 아이를 입양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니까 얼마 지나지 않아 그 회사는 마치 한 집안처럼 느껴지게 되고 직원들 사이에서 서로 대하는 방식이 달라지고 소속감을 느끼고 편안하고 존중받는 느낌을 받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직원들은 내가 돌봄을 받는다고 느끼는 만큼 다른 사람을 돌보기 시작했고 이렇게 서로 돌보는 환경덕분에 직원들은 머리와 가슴을 모두 회사에 헌신할 수 있었고 그때부터 회사도 매출도 오르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일례의 감동적인 이야기가 이 회사에 있습니다. 시간제 직원 한명이 아내가 당뇨병을 앓고 있어 다리를 잃게 되었습니다. 이 직원은 아내를 돌볼 수 있는 시간이 필요했지만 가뜩이나 시간제로 근무하는데 시간을 줄인다면 임금이 줄어 들 것 같아 일을 줄일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아무도 부탁하지도 않았는데 동료들이 서둘러 대책을 세워 이 직원이 휴가를 더 쓸 수 있도록 자신들의 유료 휴가일을 넘겨준 것입니다. 이렇게 서로 배려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문화가 되어 직원들이 회사에 더 헌신했고 그 이유가 매출액이 오르고 회사가 성장한 큰 이유라고 저자는 말해주고 있습니다.

 

정의 지향적 가치에서 돌봄 지향적 가치로

이 돌봄의 가치는 기독교에서가 아니라 이제 이 세상에서 부각되고 있는 가치입니다. 이 돌봄의 가치는 이미 논의 되어 온 것입니다. 제가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할 때 여성학 강의를 들었는데 여성도덕철학자 길리건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이 여성은 여성의 도덕성은 남성과 다르다. 여성은 돌봄의 윤리, 남성은 정의의 윤리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의의 윤리는 개별적이고 분리된 자아 개념과 공평한 객관성, 공평무사한 규칙 혹은 원리에 대한 선호로 특징지어질 수 있고 반면 여성의 돌봄의 윤리는 타인과 연결되고 상호의존적인 자아 개념, 친밀한 관계에 기초한 정체성, 타인을 곤경에 빠뜨리거나 해롭게 하지 않으려는 민감성, 자신 및 타인의 행복에 대한 관심, 구체적인 상황에서 조화로운 관계에 대한 관심을 특징으로 한다고 보았습니다. 이 여성철학자는 도덕적 성숙은 이러한 두 지향성의 종합, 혹은 통합에 의한 것이다. 정의롭지 못한 돌봄과 돌봄이 없는 정의는 도덕적으로 불충분하다고 정의를 했습니다. 그러나 이 여성의 후기저작에 보면 도덕적 성숙은 정의 지향성보다는 돌봄 지향성이 더 우월한 것이고 우선적으로 획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의 지향적인 것이 더 성숙한 걸까요. 돌봄 지향적인 것이 더 성숙한 걸까요. 솔직히 옛날에는 여성은 도덕성과도 거리가 멀었습니다. 도덕적으로 결핍된 열등한 존재로 보았습니다. 이제는 여성의 가치, 여성의 도덕성을 새롭게 부각시킵니다. 그러나 아직도 기업문화는 원칙적이고 합리적인 것에 기초합니다. 이것을 성숙한 것으로 여기는데 이제 대세는 달라졌습니다. 관계가 중요하고 돌봄이 중요합니다.

 이제는 시대에 맞는 리더십 스타일을 여성성에서 찾아야 되지 않을까요. 권위, 원칙, 합리성, 논리, 효율성 이런 것들은 사람들을 경쟁에 끌어들이고 긴장케하고 일시적 성과는 거둘 수 있을 지언정, 헌신과 노력과 배려는 조직이라는 공동체 사회에서 기대해 볼 수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헌신과 노력과 배려가 장기적으로 기업과 사회에 더 큰 발전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