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이와 느린 춤을>, 그 희생

<낯선 이와 느린 춤을>이라는 책을 읽었다. 저자는 미국의 여기자이기도하고 토크쇼 진행자이기도 했던 여자인데 이 여자의 남편이 58세에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린 것이다. 이 여성은 직장을 그만두고 20년 동안 남편을 간병한 것을 에세이식으로 써서 발표했는데 이것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 책을 보고서 건강에 대한 특히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경각심보다는 이 여성이 사랑하는 남편을 간병하면서, 간병이라기보다는 전쟁 같은 삶을 살면서 그녀의 희생에 대해 감동을 느꼈다. 기억을 잃어가 소통도 불가능하고 때론 발작을 일으켜 자기를 공격하기도 하는 사람을 돌보면서 진작 자기는 10년 동안 건강진단 한번 받아보지 못하고 그렇게 산 삶을 그녀는 어떤 낯선 이와 느린 춤을 추었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죽어가는 남편 옆에서 남편 하비는 인생에서 중요한 모든 것, 사랑, 신뢰, 가족을 내게 가르쳐 주었다. 그이가 고맙다 라는 말을 남긴다.

그래서 잠시 희생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이 책에 보면 어느 날 같은 침대에 누워 자던 남편이 이 아내에게 왜 자기 침실에 누워있냐고 대뜸 그러는 행동을 한다. 이 아내가 같이 찍은 사진을 보여주며 우리는 결혼한 사이라는 것을 인식시켜줘도 남편은 그것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리고선 남편은 그 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그 아내의 희생을 인정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당신이 정말 내 아내라면 지금 겪고 있는 일들은 당신에게 너무 가혹해요"

남편도 남편이지만 그 아내의 인생은 뭔가. 그 간병하는 과정을 책을 통해 보면 가혹하다는 표현이 나올 만도 하다. 어쨌든 다른 선택을 할 수도 있었을 텐데 그녀의 선택은 자기희생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다.

 

변질되어 가는 희생의 가치

우리는 한국의 유교정서 문화 속에서 희생의가치가 가장 숭고한 가치로 배우고 익혀왔다. 아니 그렇게 주입되어 왔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사람, 가정을 위해 희생한 사람을 영웅으로 큰 미덕으로 알고 살아왔다. 그리고 특히 여성에게 희생의 가치는 더욱 강조되어 왔다.

그런데 필자가 대학원을 와서 여성학을 공부하게 되었을 때, 이 희생의 가치가 전혀 전복되어 다가왔다. 즉 희생의 가치는 남녀 차별을 공고히 하는 이데올로기다. 여성을 열등하게 만들고 여성자신의 존엄성을 마음껏 펼치지 못하게 만드는 구시대적 가치이다 라는 것이다.즉 희생의 가치를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강조하고 주입해서 여성의 사회진출도 막고 여성의 자존감을 억눌리게 했다는 것이다. 특히 남성들은 여성의 희생을 매력적인 미덕인 것처럼 여기게 해서 남성중심적인 사회적 시스템을 잘 굴러가게 하려했다는 것이다. 결국 여성의 자기희생을 미덕으로 강조하는 분위기는 남과 녀의 지배와 복종, 차별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는 것이다.

 

솔직히 어렸을 때부터 가정에서 학교에서 교육이 이 차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했던 것이 사실이다.  가정에서도 나는 막내라 귀여움을 많이 받았지만 유교적 남아선호사상 때문에 오빠들하고 차별을 많이 받았다.  맛있는 거는 항상 아버지 큰오빠 작은오빠 순이었고

지금도 기억에 나는 서러웠던 일은 작은 오빠가 장이 나빠 어머니가 지금의 야구르트를 매일 받아서 작은오빠만 먹였다.  근데 어린나이에 그것이 먹고 싶어 몰래 조금 먹고 물을 타서 채워놓았는데, 그것이 들켜 작은 오빠한테 뒈지게 혼났던 추억 아닌 추억이 있다.

지금의 나의 어머니 세대는 더 해서 고등학교 운동회 때 반바지를 입고 달리기를 했는데, 벌거벗고 뛴다고 할아버지가 책을 다 태우고 학교에 못 가게 하셨다는 일화도 있다.

어쩔 수 없는 차이가 차별이 되어 버려 여성들은 직장에서 기를 못 펴고 결혼이나 임신이나 하면 눈치부터 먼저 보인다고 한다.

이러다 보니 거세진 여성운동이 이젠 희생의 가치마저 변질시켜버리고, 왜 여성이 희생하고 나서냐하면서 들고 일어나는 현실이다.

 

그럼에도 우리를 따뜻하게 하는 희생이야기

그래서 요즘 세대들은 자기 이익에 참 밝고 전혀 희생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한다. 기업문화도 수당을 더 준다 해도 30분도 더 초과근무하지 않고 자기 시간을 가지려고 하고 회식자리도 가지 않으려고 한다고 들었다.  손해 본다고 생각하면 철저히 따지고 하지 않는다고 한다는 것이다.

 

이제는 희생을 입에 올리려고도 하지 않는 현실이지만 아직도 우리의 마음을 따뜻하게 감동시키는 것은 누군가의 희생의 이야기이다. <낯선 이와 느린 춤을>의 저자도 좋은 직장을 가진 커리어우먼이었는데 남편을 요양원에 보내고 자신의 인생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도 그러지 않았다. 그리고 마지막에 남편에게 고맙다는 말을 한다. 그 희생의 삶 속에서 고귀한 것을 깨달았기 때문에 희생이 더 이상 희생이 아니었다. 그 고귀한 것, 그것은 무엇일까. 그런데 아마 그것은 사랑인 것 같다. 사랑이 희생을 희생으로 여기지 않게 한다. 오히려 감사하게 하고 고맙게 여기게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