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자의 뇌>, 진정한 승자의 정신

 

 

누구나 승자가 되고 싶어 한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승리하는 삶을 살고 싶어 한다. 어떻게 해야 승자로 살 수 있는 걸까. 혹자는 유전자에 의해 승자 혹은 패자가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을 완강히 거부하고 승자효과 winner effect라는 것이 있다 라고 주장하는 책이 있다.  바로 <승자의 뇌>라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는 동물실험을 통해서 한 번 싸움에서 이긴 경험이 다음 싸움에서 이길 확률을 높여준다는 것을 주장했다. 이것이 바로 승자효과이다. 한번 승리가 다음번의 승리도 보장해 준다는 것이다. 한번 승리한 경험은 뇌에서 테스토스테론을 분출하는데, 이 맛을 본 동물이 다음 번 대결에서도 승리를 거둘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다음 번 대결에서 이 테스토스테론이 보다 더 많이 분출된다. 그럼으로 인해서 그 동물은 덜 불안해지고 더 공격적으로 바뀌며 고통을 견딜 수 있는 임계점도 더 높아진다. 즉 테스토스테론이 승리를 거두는 동물을 더욱 강하게 만들어준다는 것이다. 바로 이 승리의 쾌감을 뇌가 기억하고 뇌가 다음번 싸움에 더 유리하게 작용하도록 돕는다는 것이다. 한번 이긴 경험을 맛본 사람은 다음번 경쟁에서도 이긴다는 논리이다.

 

승리감은 수명과도 관련이 있다

책에서 보면 이런 예가 있다. 아카데미상 수상 후보자로 지명된 성공한 배우들을 대상으로 해서 수명을 분석한 결과, 아카데미상 수상자들이 후보로만 지명만 되고 그 상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서 평균적으로 4년 더 오래 살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노벨 수상자들도 마찬가지인데 노벨상 수장자 들이 후보에 오르긴 했지만 결국 그 상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서 평균적으로 1-2년을 더 오래 살았다는 보도가 있다. 저자는 이런 결과가 왜 나왔는지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아카데미상 수상이라는 경험이 세상에 대한 통제력을 자기가 가지고 있다는 믿음을 강화하기 때문에 이것이 스트레스의 해로운 효과를 차단해서 더 오래 산다는 것이다. 세상에서 말하는 승리의 경험은 승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한다고 느끼게 한다. 그리고 이 통제감은 승자를 스트레스로부터 막아주며 그가 보다 나은 성공을 거두고 보다 오래 살며 또 보다 행복해지게 해준다는 것이다.

어쨌든 승리의 경험은 우리에게 유익한다. 수명도 연장시켜준다.

 

끊임없는 승리는 부정적 결과를 만든다

부정적인 승리도취, 도박, 권력, 섹스를 생각해 보자. 승리는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높인다고 했다. 이 수치가 높아지면 승리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테스토스테론은 도파민,  즉 도박이나 모험의 전율이든 혹은 섹스의 전율이든 간에 전율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테스토스테론이 도파민 수치를 높여주고 이 많은 양의 도파민이 전율을 좇는 마음을 충돌질 한다. 그래서 억제할 수 없는 끊임없는 욕망으로 나아간다. 일정한 양의 도파민은 힘을 북돋우고 동기부여를 하며 보상과 인정에 따르는 행복감을 주지만, 도파민의 양이 통제되지 못할 때 위험이 따른다는 것이다.

권력자들이 끊임없는 섹스에 취하고 도박꾼들이 도박을 끊지 못하고 계속 도박을 하는 것도 이 이유에서 일 것이다.

 

진정한 승자는

저자는 진정한 승자는 자아가 늘 위험하고 사나운 개라는 사실을 알고 권력이라는 무거운 짐을 잘 사용하기 위해 그 개를 멀찍이 떼어놓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권력에 심취하면 권력 맛을 보면 개가 되기 쉽다. 저자는 이것을 경계하고 있다.

진정한 승자는 권력의 편익(예를 들면 똑똑함, 창조성, 목표 집중성 등)을 즐기지만, 다른 사람에게도 자원을 나누어줄 줄 아는 사람이며, 다른 사람에게 선한 영향력을 행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진정한 승자는 삶을 스스로 통제할 줄 아는 사람이며, 이 통제감이 승자를 스트레스로부터 막아주며 부정적인 영향에서 막아주며, 보다 더 성공을 거두고 오래 살며 행복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승자는 자신의 자아는 위험하기 짝이 없는 사나운 개라는 사실도 충분히 인식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개라는 자아를 사회적인 원칙에 대한 충실성이라는 목줄에 단단히 채워두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즉, 진정한 승자는 바로 자신을 통제하고 길들이는 사람이다.

   

우리에겐 이런 리더가 필요하다

우리에겐 이런 리더, 이런 정신을 가진 정치가가 필요하다. 리더는 권력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승리의 쾌감이, 권력의 맛이 자신의 자아를 개가 되지 않도록 늘 통제하고, 사회의 원칙을 늘 수호하려고 하는 리더, 이런 리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정치인들이 돈과 섹스문제에 얽혀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는 도덕을 이야기하고, 보편타당한 가치를 이야기 하고, 상식을 이야기 하지 않았다. 그는 우리의 뇌를 연구했다. 그는 뇌를 연구하면서 승리의 맛도 권력의 맛도 통제가 됨을, 통제하여야 함을 말하고 있다.

승리는 우리에게 유익하다. 그러나 우리가 통제력을 잃으면, 그 승리의 쾌감은 우리를 언제나 짐승으로 만들 수 있음을 늘 상기해야 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