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 가족해체 위기의 실마리를 찾다.

 

 

진정한 가족이란

피를 나눈다는 것이 중요할까? 가슴으로 느끼는 애틋함이 중요할까?

형이라는 영화에 두 명의 남자가 등장한다. 서로 피가 조금도 섞이지 않았는데 무늬 상 형제이다. 그러나 동생은 국가 유도대표 경기 때 불의의 사고로 시신경을 잃고 장님이 된다. 그 형이라는 사람은 자기 친엄마가 새엄마 때문에 돌아가셨다고 믿고 일찍이 가출하여 밑바닥 생활을 돌다가, 사기죄로 교도소에 갇혀 있다가 이 장님이 된 동생을 돌본다는 조건으로 1년 가석방된다. 진정 그 장애인 동생을 돌볼 마음이 아니라 자기가 세상에 나오고 싶어 일종의 사기를 친 거다. 어쨌든 이 형제 아닌 형제는 다 큰 어른이 되어서 서로 비참한 지경이 되어서 만난다. 그 만남은 전쟁이다. 서로 마음을 못 열고 쌍욕이 오가고 싸움의 연속이었다. 그런데 돈 한 푼 없는 이 형이란 사람이 동생이 가지고 있는 돈을 쓰기 위해서 연기를 한다. 진짜 형으로서 돌보기 시작하는데... 워낙 구라가 세고, 세상적이고, 흥이 많은 이 형은 동생에게 장애인이라도 당당하게 살 수 있다면서 세상맛을 보여주기 시작한다. 그 때부터 어둡고 우울했던 동생이 달라지기 시작한다. 그런데 어느 날 이 동생이 장애인 올림픽 대회를 제안 받고 자신 없어 하고 있을 때, 이 형은 갑작스럽게 췌장암이라는 선고를 받는다. 이 형, 이젠 동생에 대한 마음이 진심으로 변해 가는데, 이젠 동생이 진짜 걱정되는데, 자신은 죽음을 맞아야 한다. 그는 받아들일 수 없어 몸부림치지만, 조용히 동생에게 장애인 올림픽 경기대회에 나갈 것을 격려하고 형으로서 할 수 있은 헌신을 조용히 해나간다. 자기가 죽는다는 것은 알리지 않은 채.

동생은 형 때문에 용기를 백 배 얻어, 열심히 연습해 장애인 올림픽 유도대회에 나가게 되고, 그러나 마지막 시합 전에 형의 아픔을 알게 된다. 그리고 결단한다. 눈물 흘리며 꼭 이기겠노라고.

결국에 경기에서 이긴 그는 무릎 꿇고 앉아서 형! ! ! 이라고 애타게 울부짖는다. 눈물은 범벅이 되고.

욕지거리만 하고 한 번도 부르지 않았던 형이라는 말을 수 도 없이 외쳐댄다.

병원에서 tv로 이를 지켜보던 그 형도 조용히 눈물을 흘린다.

그들은 진정한 형과 동생이 된 것이다. 이 영화는 진정한 가족이 무엇인가의 여운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형은 동생에게 큰 사랑을 남기고 세상을 떠나고, 그 동생은 이전의 자신을 비하하던 모습이 아니라 당당하게 씩씩하게 삶을 살아가는 것으로 영화는 끝난다.

이 영화는 가족해체라는 위기를 안고 있는 이 사회에 혈연이 아니라 가슴으로 느끼는 애틋함이 가족을 가족 되게 함을 느끼게 한다. 이젠 가족의 기준이 피를 나눴다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 나눈 사랑이 있냐는 것이 기준이 될 것이다. 해체가족이 많은 지금 현실, 그리고 이복형제끼리 가족을 이루고 있는 현실도 증가 추세인데 진정한 가족의 의미를 다시 찾아야 한다.

 

가족해체라는 사회 문제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따뜻한 영화

가족해체는 우리 사회의 문제다. 그 원인은 부부간의 이혼, 가정폭력, 부모나 자녀의 유기, 어쩔 수 없는 사별 등 많은 사연들로 가족해체는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가족해체는 또 다른 폭력을 낳고 더 큰 사회문제를 우리에게 안겼다. 계모가 전처의 아들이나 딸을 폭력으로 죽이는 극악한 일들이 우리 사회에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이혼가정의 아이들이 가출 등으로 비행청소년이 되고 범죄에 쉽게 노출되는 것을 우리는 쉽게 볼 수 있다.

이 형이라는 영화에서도 가족해체의 현상은 큰 불행을 안겨주었음을 볼 수 있다. 이 영화에서 형이라는 사람은 가족의 끈을 버리고 삐딱하게 된 사람의 본보기다. 그러나 또 다른 불행을 맞은 배다른 동생, 피를 나누지 않은 동생에게 연민의 정을 느끼고, 그는 그 동생을 헌신적으로 돌본다. 죽음을 맞지만 그의 헌신은 동생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세상을 등진, 자신 스스로를 우울의 감옥 속에 가두고 살고 있는 동생을 세상으로 나오게 하고 더 이상 세상을 무서워하지 않고 담대하게 씩씩하게 살아가게 한 장본인이 바로 그 형이다. 그래서 우리는 영화를 보고 감동을 하게 된다.

 

 

진정한 가족은 돌봄의 책무가 필수요건

그러므로 진정한 가족이 되게 하는 것은 혈연이나 피가 아니라 가슴에서 나오는 정이고 서로 돌봄으로 증명이 되는 것이다. 정의 문화가 사라지는 것, 돌봄의 문화가 사라지는 것, 이것이 진정한 사회문제의 근원이 아닐까.

정이 그립다. 누군가의 따뜻한 돌봄이 그립다. 나만이 아닐 것이다. 피를 나누지 않은 사람이라도 이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우리가 조금만 따뜻한 가슴을 열어둔다면. 우리가 조금만 돌봄의 의무를 다한다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