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노트북>, 남녀 간에 완전한 사랑이 가능할까

 

 

 

사랑은 삶의 이유이다

노트북이란 영화는 2004년에 한번, 201611월에 재개봉되었고, 실화를 바탕 으로 한 베스트셀러소설을 영화화 한 것이다. 한 남자와 한 여자의 사랑이야기인데 무척 감동적이었다. 한 남자는 상식적인 보통 남자이다. 그런데 한 여자를 평생 사랑하는 것을 사명으로 아는 사람이다. 여자는 부잣집 딸이었고 여름휴가차 시골에 왔다가 그 남자를 만나 서로 열렬하게 사랑을 하게 된다. 그러나 집안의 반대로 헤어졌다가 우여곡절 끝에 다시 만나 사랑의 결실을 이룬다. 그런데 그 여자는 자기가 그렇게 뜨겁게 사랑하고 한 남자를 사랑했다는 것을 기억을 못한다. 노인성 치매에 걸린 것이다. 그래서 남편이 된 그 남자가 치매에 걸린 여자에게 책을 읽어주겠다고 접근해 소설을 읽는 것처럼 자신과 치매를 앓는 부인의 사랑이야기를 들려준다. 잠깐 기억이 돌아왔다가 다시 기억을 잃는 자기 부인, 자기 부인과 사랑을 나누고 싶지만 기억을 잃어 남이 되어 버린 그 장면들이 참 안타깝고 눈물겨웠다. 마지막 장면은 기억이 잠시 돌아온 그 여자와 남자주인공이 병원 한 침대에서 같이 잠들고 죽음을 맞이하는 거였다.

 

나는 남녀 간에 지고지순한 사랑을 믿는 사람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 영화를 보고 한 남자와 한 여자가 그렇게 평생 사랑을 할 수 있구나. 평생을 사랑하고 같이 죽음을 맞는다면... 그 사랑이 우리를 감동 시킨 것은 한 남자의 희생과 죽음마저 함께 한 축복 때문일 것이다. 치매를 앓아 그렇게 사랑하는 사람이, 그리고 자식마저 남같이 되어 버린 것이 안타깝지만 한 남자의 지고지순한 노력이 사랑의 기억을 되돌리고 서로 사랑을 확인하고 같이 죽음을 맞는 것. 너무 가슴 찡한 일이다. 실화에 있었다니 이런 사랑도 가능하다는 것에 나는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았다.

사랑은 삶의 이유다. 누구나 완전한 사랑을 꿈꾼다. 그러나 이 세상에 인간이 하는 사랑에 완전한 사랑이 있을까. 이 영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랑이 삶의 이유이다. 사람은 사랑 때문에 눈물 흘리기도 하고, 사랑 때문에 웃기도 한다. 사랑 때문에 살고 사랑 때문에 죽기도 한다. 그러므로 사랑은 곧 생명과도 같다. 인간은 사랑으로 태어나서 사랑하며 살다가 또 사랑하며 죽는다. 그래서 시와 노래, 문학의 주제는 대부분 사랑이다. 우리나라 가요의 가사내용도 대부분 사랑에 관한 것이다.

 

 

사랑이라고 해서 다 사랑은 아니다

그렇다고 사랑이라고 해서 다 사랑이 아니다. 동물의 사랑은 본능이라고 하지 사랑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사랑도 여러 가지 사랑으로 분류될 수 있다.

20세기 기독교의 최고의 사상가라고 불리는 C.S.루이스라는 사람은 <네 가지 사랑>이라는 책에서 사랑을 네 가지로 구분했다. 그것을 우리말로 애정(affection), 우정, 에로스, 자비로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인간의 보편적인 사랑, 즉 가장 기본적인 사랑인, 필요를 채우기 위한 사랑을 애정이라고 말하고, 가장 덜 본능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같은 방향을 향하고 같은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친밀한 관계가 되는 것을 우정이라고 했으며, 일반적으로 사랑에 빠지다 라고 표현되는 연인들 간의 사랑을 에로스로 나누었고, 마지막으로 위의 이 세 가지 사랑을 뛰어넘고, 가장 온전한 신의 사랑을 자비로 표현했다. 그는 애정과 우정 그리고 에로스는 한계가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이것들은 파괴적인 속성을 갖는다고 말한다. 이 파괴적인 속성들이 상대방을 구속하고 다른 이를 분리시키는 악한 이기적 집단이 되고 서로가 서로의 인격과 개별성을 무시하고 삼켜버리는 탐욕스러움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이런 말을 한다. "신이 되어 버린 사랑은 악마가 됩니다." 결국 애정, 에로스, 필리아 같은 사랑은 이기적인 사랑으로 전락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그 사랑은 악마와 같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 사람이 마지막으로 말한 자비는 모든 이전의 사랑이 끝까지 그 온전함을 잃지 않도록 만드는 것으로 오직 필요한 것이 전혀 없으신 하나님의 사랑이라고 말한다.

즉, 내가 고민했던 완전한 사랑은 인간의 사랑에선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완전한 사랑은 하나님의 사랑밖에 없다는 것이다.

 

 

사랑은 성숙한다. 완전한 사랑으로

그렇다고 내가 절망을 느낀 것은 아니다. 남녀 간의 사랑, 인간의 사랑은 완전한 사랑이 될 수 없다고 해서 실망한 것은 더욱 아니다. 분명히 인간들의 사랑은 이기적이고 파괴적이 될 수도 있다. 에로스의 사랑은 더욱 더.

그러나 얼마든지 성숙의 가능성이 있다. 사랑도 성숙한다. 에로스의 사랑이 완전한 사랑으로 성숙해 가는 것이다. 희생과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을 만큼. 나는 영화 <노트북>에서 가능성을 보았다.

+ Recent posts